URL 인코더/디코더
URL 문자열을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세요.
빠른 예제
한글 및 특수 문자 인코딩
https://example.com?name=홍길동&title=안녕하세요!
인코딩된 URL 디코딩
https%3A%2F%2Fexample.com%3Fname%3D%ED%99%8D%EA%B8%B8%EB%8F%99...
URL 인코딩/디코딩 정보
- • URL 인코딩은 안전하지 않은 문자를 '%' 다음에 두 자리 16진수로 변환합니다.
- • 공백은 '%20'으로 인코딩되거나 '+'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.
- • 한글과 같은 유니코드 문자는 UTF-8로 인코딩된 후 각 바이트가 '%xx' 형식으로 변환됩니다.
- • 이 도구는 JavaScript의 encodeURIComponent()와 decodeURIComponent() 함수를 사용합니다.
URL 인코딩이란?
URL 인코딩은 URL에서 안전하지 않은 문자를 안전한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. URL은 ASCII 문자 집합의 일부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, 한글이나 특수 문자와 같은 안전하지 않은 문자는 '%'와 두 자리 16진수로 표현됩니다.
URL 인코딩이 필요한 이유
- 특수 문자 처리: URL에는 '?', '&', '/', '#' 등의 특수 문자가 특별한 의미를 가지므로, 이러한 문자를 데이터로 사용하려면 인코딩해야 합니다.
- 비ASCII 문자 지원: 한글, 일본어, 중국어 등의 비ASCII 문자는 URL에서 직접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인코딩이 필요합니다.
- 공백 처리: URL에서 공백은 '%20'으로 인코딩되거나 '+'로 대체됩니다.
URL 인코딩/디코딩 사용 사례
- 웹 개발: 폼 데이터 제출, API 요청, 쿼리 파라미터 처리 등에서 사용됩니다.
- 데이터 전송: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특수 문자나 비ASCII 문자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.
- 링크 생성: 동적 링크를 생성할 때 파라미터에 특수 문자나 한글이 포함된 경우 인코딩이 필요합니다.
참고사항
URL 인코딩은 웹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. 특히 한글이나 특수 문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URL에 포함시킬 때 반드시 인코딩해야 합니다.